본문 바로가기
바닥인테리어

장판 보수 방법

by 억수르 2024. 3. 8.
반응형

들어가기

현관문을 열고 집 안으로 들어가 신발을 벗는다. 첫 발걸음이 닫는 곳은 바닥이다. 바닥은 장판, 마루, 타일, 데코타일등으로 마무리된다. 모든 물체들은 중력 법칙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진다. 우리 집도 예외은 아니다. 바닥으로 떨어진 물체들에 의해 바닥재가 손상이 간다. 물체의 크기에 따라 손상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장판의 손상 종류에 따른 보수 방법 등을 이야기할 것이다. 추후 마루, 타일, 데코타일등에 대한 손상과 보수에 대해 이야기할 시간을 가진 것이다.

 


손상의 종류 및 해결방법

장판 손상의 종류는 다양하다. 눌림, 찢김 [폐임], 찢어짐, 물어뜯음, 잘림 등이 있다.

 

  • 눌림

 

무거운 제품이나 가구에 의해 눌려진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을 경우에 일부 복원이 된다. 장시간 눌렸을 때에는 복원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장판 표면에 흠집이 없는 상태이다. 복원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준비물 : 뜨거운 냄비 또는 헤어드라이어, 수거 또는 행주

 

  1. 뜨거운 냄비 또는 헤어드라이어를 준비한다.
  2. 눌려진 장판 위에 수건 또는 행주를 놓는다.
  3. 그 위에 준비한 뜨거운 냄비 또는 헤어드라이어로 장판을 가열해 준다.
  4. 눌려진 부분의 변화 또는 복원을 살펴보며 조심스럽게 가열한다.

 


  • 찍힘 [폐임]

 

뽀쪽한 물체가 바닥에 떨어져 생긴 손상이다. 손상 크기는 작지만 그 깊이가 장판 속까지 들어간다. 장판 겉면까지 손상을 입었지만 장판 겉면이 떨어져 나가지는 않은 상태이다. 먼저 눌림 현상 복원 방법으로 장판 주변의 온도를 올려주는 것이 준비 과정이다.

 

준비물 : 바늘 또는 핀센 또는 이쑤시개, 마른 천, 목공용 본드, 장판용 본드[용착제]

 

  1.  손상된 장판 주변을 가열 후 바늘, 핀셋 또는 이쑤시개를 준비한다.
  2. 안으로 들어간 장판 겉면을 들어 올린다. 장판 겉면을 반듯하게 만든다.
  3. 그 안에 목공용 본드등을 넣고 장판 겉면을 덮는다.
  4. 그 위에 마른 천을 깔고, 약하게 가열된 다리미로 다려준다.
  5. 그 부위에 장판용 본드[용착제]를 넣고 마른 천으로 바로 닦아준다.

 

  • 찢어짐 또는 잘림

 

찢어짐은 무거운 가전이나 가구 등을 옮길 때 생길 수 있는 손상이다. 잘림은 예리한 물체의 의한 장판에 칼집이 들어간 상태이다. 장판의 겉과 속이 모두 손상을 입은 상태이다. 찍어진 부분의 손상이 크지 않다면 복원은 가능하지만 흉터는 남을 수 있다.   

 

준비물 : 목공용 본드, 본드 헤라, 장판용 본드[용착제], 마른 천, 다리미

 

1. 찢어지거나 잘린 부분을 들어 찢어지거나 잘린 부분 경계에  목공용 본드를 헤라로 도포한다.

2. 찢어지거나 잘린 부분의 이빨을 잘 맞춰 눌러준다.

3. 그 부위에 마른 천을 깔고, 약하게 가열된 다리미로 다린다.

4. 구부러진 거 난 덜 펴진 부분이 없는지 살표 보며 조심스럽게 다린다.

5. 그 경계 부분에 장판용 본드를 도포 후 마른 천으로 닦는다.

 


  • 물어뜯음

 

애완동물에 의해 장판이 손상된 경우이다. 물어뜯긴 부분의 조각을 다 찾을 수 있다면 "찢어짐 또는 잘림"의 복구 방법으로 보수가 된다. 만약 한 조각이라도 없다면 새 장판으로 교체를 해야 한다. 교체 방법은 모양 갈이, 폭갈이, 면갈이등이 있다. 모양 갈이는 장판 겉면에 있는 모양만 교체하는 것을 말한다. 폭갈이는 장판 1폭을 교체하는 것이다. 면갈이는 방전체를 교체하는 것이다. 비용은 모양갈이, 폭갈이, 면갈이 순으로 높아진다.

 


 

  • 들뜸

 

들뜸 현상은 장판 시공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바닥면의 완전 건조가 되기 전에 시공할 경우 습기 배출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다. 바퀴 달린 의자처럼 한 부분을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줄 때에도 장판이 늘어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미 장판이 늘어난 상태이므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 같다. 감수하고 사용하든지 모양갈이, 폭갈이, 면갈이를 해야 할 것이다. 습기의 의한 것이라면 완전 건조 후 시공을 해야 재발되지 않을 것이다.


마무리

장판의 손상 종류와 그에 따른 보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바닥면은 맨 아래 있는 것이므로 어떤 물체도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간단하지 않은 것은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겠지만 간단한 손상에 대한 보수를 할 수 있으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이 읽으면 가치있는 글

2023.02.05 - [바닥인테리어] - 장판보수, 어떻게 할까

 

장판보수, 어떻게 할까

장판이란 장판을 한국의 주택에서 방바닥에 까는 종이나 비닐로 된 시트를 말합니다. 근원은 장유지라고 부르며, 한지에 콩기름을 발라 만들었고 옻칠을 여러 번 했으므로 양반집 또는 부잣집

yongjininterior.com

 

반응형

'바닥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닐 바닥재'는 지고, '목질 바닥재' 가 뜬다  (0) 2024.05.04
개인 주택 거실 바닥 시공  (1) 2024.03.16
바닥재 비교해 보기  (0) 2024.02.01
용착제에 대해  (0) 2024.01.25
장판시공의 숨은 기술들  (0) 2023.08.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