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2

[용어] 코너비드, 각대 현장 용어에 대해 코너비드는 미장 마감의 바름벽 구석을 보호하기 위한 막대 모양의 철문을 말합니다. 손상되기 쉬운 벽이나 기둥의 모서리에 사용됩니다. 각대, 모서리쇠, angle bead, angle staff, corner guard 등의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재질은 플라스틱제, 아연도금철제, 스테인리스철제, 황동제 등이 있습니다. 미장뿐만 아니라, 목공, 타일, 도배 공정에서도 손상되기 쉬운 벽, 기둥 모서리에 사용하여 각을 살려주고, 마감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관련사진 같이 보면 도움 되는 다른 용어 2021.05.25 - [일상. 뉴스. 용어] - 방통?, 인테리어 현장용어부터 방통?, 인테리어 현장용어부터 도배, 바닥재을 작업을 할 때 쓰는 용어 1. 걸레받이 : 목공, 장.. 2024. 4. 13.
[일상]해볼 만한 셀프 인테리어 들어가기 셀프 인테리어, DIY로 내 집을 직접 꾸미고 싶은 욕구와 희망을 머릿속으로 상상만으로 그려보기도 합니다. 한 편으로는 안 하기를 잘했다라며 스스로를 위안을 삼기도 합니다. 각각의 작업 공정은 쉬워 보일 때도 있고, 어려워 보일 때는 있습니다. 일률적으로 쉽다든지, 어렵다든지 한쪽으로만 편향되지는 않습니다. 전반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쉬운 공정을 찾는다면 셀프 인테리어를 직접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공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볼 만한 셀프 인테리어 도장 (페인트) 도장은 페인트 하는 것을 말합니다. 도장으로 마감된 곳은 문, 문틀, 발코니 천장과 벽등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천장몰딩, 걸레받이, 벽지 등이 있습니다. 전체적인 유지관리 상태가 양호하다면 철거작업이 필요 없이 도장, 페.. 2024. 4. 12.
조명의 종류 들어가기 조명은 집의 액세서리 같은 존재입니다. 공간을 더 화사하고 더 따뜻하게 분위기를 변신시켜 주는 포인트 아이템입니다. 장식 조명은 추가로 나중에 구입을 해도 되지만, 매입등, 벽등, 펜던트 같은 조명은 처음부터 콘셉트 또는 위치등이 정해져야 합니다. 집 분위기를 결정짓는 조명의 종류에 대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명의 종류 펜던트 조명 첫 번째 소개할 조명은 펜던트 조명입니다. 펜던트 조명은 천장에 바로 붙는 것이 아니라, 천장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하는 조명을 말합니다. 식탁 조명이 대표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또한 다채롭습니다. 펜던트 조명의 선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먼저 공간과 조화를 생각해야 합니다. 또한 조명이 꺼진 후의 모습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펜던트 조명.. 2024. 4. 11.
인테리어 마감재 종류와 특징 들어가기 유종의 미를 거둔다는 말이 있습니다. 끝을 잘 맺는 아름다움을 말합니다. 건축에서 유종의 미는 건물주와 건축주 모두 마감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시킵니다. 상호 간의 마무리를 더욱 빛나게 해주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축 인테리어 마감은 다양합니다. 건물주의 니즈에 맞는 건축주의 다양한 시공 방법으로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마감재는 공간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요소입니다. 마감재의 종류, 연출, 특징등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인테리어 마감재 종류와 특징 벽지 인테리어 마감 자재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벽지입니다. 다양한 색상, 질감, 패턴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벽지의 원자재는 종이이며, 질감과 코팅여부에 따라 종류를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합지벽지와 실크벽지로 나눕니다. 합지 벽지 .. 2024. 4. 10.
[용어] 고시, 중문인테리어에 사용 현장 용어에 대해 중문 인테리어할 때 종종 등장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중문 카탈로그의 사진들은 소비자들에게 많은 것들을 전달해 주지만 관심이 없을 경우에 쉽게 놓칩니다. 용어를 이해하고 사진을 볼 경우 더 많은 정보들이 들어오게 됩니다. 고시라는 용어도 그중에 하나입니다. 하부 고시, 고시형 중문으로 많이 사용이 됩니다. 하부 고시 또는 고시형 중문은 중문 하단에 가림막이 있다를 말합니다. 신발이나 수납장이 놓인 현관 바닥이 노출되지 않아 깔끔해 보이는 인테리어 효과를 높여 주고, 보다 안정감을 주는 형태입니다. 도어의 무게도 줄여주는 장점도 있습니다. 보통 중문의 1/3 ~ 1/4 정도를 막아주는 디자인이 일반적입니다. 3 연동 중문뿐만 아니라, 여닫이 문에도 고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고시형 오픈.. 2024. 4. 9.
[용어] 싯기 (しきい) 현장 용어 뜻과 설명 하부 문틀을 문턱, 문지방이가 부르며 일본어로 싯기라고 합니다. 방통, 문틀교체등 리모델링 진행할 때, 방문은 문턱[문지방, 싯기]없이 진행을 합니다. 방문 디자인이 더 깔끔하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물을 사용 빈도가 많은 욕실에는 문턱[문지방, 씻기] 시공을 합니다. 관련 사진 문틀 [문지방, 싯기] 제거의 이점 문틀이 없을 경우 거실과 방까지 같은 높이임으로 거실에서 방으로, 방에서 거실로 이용하는 보행감과 그 중간에 턱이 없어 걸려 넘어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방통을 포함한 리모델링을 할 경우 문틀 제거를 해 보시는 것도 좋은 듯합니다. 거실과 방의 높이 차이가 없다면 문틀[문지방, 싯기] 제거하여 보행감을 향상하고,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문턱 제거 후.. 2024.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