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공인테리어

천장 마감, 기초가 튼튼해야...

by 억수르 2025. 8. 26.
반응형

천장 마감 공사의 기초 구조

 

천장 마감은 콘크리트 슬래브 아래에 새로운 천장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조명이나 시스템 에어컨 배관을 숨기고, 단열과 흡음 효과를 높여 천장의 평탄도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달대, 달대받이, 반자틀, 반자 같은 주요 자재와 용어들이 사용됩니다.

달대와 달대받이

천장 마감 공사에서 가장 먼저 설치되는 것은 달대받이입니다. 달대받이는 천장 콘크리트 슬래브에 직접 고정하는 각재를 말합니다. 이 달대받이와 아래에 설치될 반자틀을 연결하여 수평을 맞추는 것이 달대의 역할입니다. 달대받이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부실하게 시공하면 나중에 천장이 아래로 처질 수 있습니다.

반자틀과 반자

반자틀은 달대에 매달려 천장의 뼈대를 이루는 구조물입니다. 고객님 사진에서 보이는 한치각(각목)이 바로 반자틀의 일부입니다. 반자틀은 천장의 평탄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자는 반자틀 위에 부착하는 최종 마감재를 말합니다. 고객님께서 언급하신 석고보드가 대표적인 반자널(반자)입니다. 석고보드는 천장의 주 마감재로 사용되며, 반자틀 위에 나사못으로 고정합니다. 석고보드는 중앙에서부터 시작하여 설치하며, 나사못 간격은 15cm 이내로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천장 공사 시 유의할 점

고객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한치각이 짧으면 덧대서 작업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부실한 덧댐은 천장이 처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등과 같은 천장 부착물에는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보강목을 추가하여 튼튼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천장 공사 작업 순서

1. 기준선(먹매김) 작업

가장 먼저 천장의 높이를 결정하고, 레이저 레벨기나 먹줄을 이용해 천장에 기준선을 그리는 작업입니다. 이 기준선은 모든 천장 공사의 기초가 되며, 천장의 수평을 맞추는 데 사용됩니다.

2. 달대와 달대받이 설치

천장 콘크리트 슬라브에 달대받이를 직접 고정합니다. 이후 달대받이와 아래에 설치될 반자틀을 연결하는 달대를 설치하여 천장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평을 맞춥니다.

3. 반자틀 설치

달대와 연결된 반자틀을 만듭니다. 반자틀은 천장의 뼈대를 이루는 구조물이며, 천장의 평탄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사진 속의 한치각(각목)이 바로 이 반자틀을 구성하는 자재입니다. 이때 조명이나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될 자리에는 추후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목을 미리 설치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4. 반자(석고보드) 부착

반자틀 위에 최종 마감재인 석고보드를 부착합니다. 석고보드는 중앙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공하며, 나사못 간격을 15cm 이내로 하여 튼튼하게 고정합니다. 이때 석고보드의 이음매가 최대한 겹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 퍼티(빠데) 및 샌딩

석고보드를 부착한 후, 석고보드와 석고보드 사이의 틈새나 나사못 자국을 퍼티로 메우는 작업입니다. 퍼티가 완전히 마른 후에는 샌딩 작업을 통해 천장면을 매끈하게 다듬어 줍니다. 이 과정은 도장이나 도배 마감 시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6. 마감

샌딩까지 완료되면 도장이나 도배와 같은 최종 마감 작업을 진행합니다. 몰딩을 시공하는 경우, 이 단계에서 천장 몰딩을 부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