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공인테리어

편백나무 루바는 못참지...

by 억수르 2025. 6. 14.
반응형

편백나무 루바는 독특한 향과 아름다운 무늬, 그리고 피톤치드 방출로 인해 주거 공간의 벽이나 천장 마감재로 인기가 높습니다.

 

1. 규격, 포장단위, 종류

  • 규격
    • 두께: 주로 8mm ~ 12mm 가 가장 흔하며, 15mm 이상 두꺼운 제품도 있습니다.
    • 폭: 주로 90mm ~ 120mm 가 가장 흔하며, 더 넓거나 좁은 폭도 있습니다. (사진 속 루바는 대략 90mm ~ 100mm 폭으로 추정됩니다.)
    • 길이: 1.2M, 2.4M, 3.6M 등 다양한 길이로 생산되며, 현장 상황에 맞춰 재단하여 사용합니다.
  • 포장단위
    일반적으로 1묶음(번들) 단위로 판매되며, 1묶음당 8 ~ 15개 정도의 루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포장 단위는 제품의 폭과 길이에 따라 다르며, 보통 몇 평을 시공할 수 있는 양으로 표기되기도 합니다.
  • 종류
    • 옹이 유무에 따른 분류: 유절 루바, 무절 루바 (아래 '품질' 항목에서 자세히 설명)
    • 가공 방식에 따른 분류:
      • 솔리드 루바: 나무 원목을 그대로 가공한 루바입니다.
      • 집성 루바: 여러 조각의 나무를 붙여서 만든 루바입니다.
    • 표면 가공에 따른 분류:
      • 무도장 루바: 아무런 코팅을 하지 않은 순수한 원목 루바 (가장 일반적이며 피톤치드 효과 극대화)
      • 오일 마감 루바: 오일 스테인 등으로 표면을 마감하여 변색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인 루바 (피톤치드 발산은 줄어들 수 있음)
      • 페인트 마감 루바: 원하는 색상으로 페인트를 칠하여 마감한 루바 (목재의 질감은 유지)

2. 품질 (유절, 무절 등)

 

편백나무 루바의 품질은 주로 옹이(나뭇가지가 자라던 흔적)의 유무와 상태에 따라 분류됩니다.

  • 유절 (有節) 루바:
    • 특징: 옹이가 있는 루바입니다. 옹이의 크기, 개수, 분포에 따라 등급이 나뉘기도 합니다.
    • 장점: 옹이로 인해 자연스러운 나무의 질감과 무늬가 살아있어 따뜻하고 내추럴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무절 루바에 비해 가격이 저렴합니다.
    • 단점: 옹이가 빠지거나 갈라질 수 있으며, 옹이 부분의 색상과 질감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적합한 곳: 전원주택, 카페, 한옥 스타일 등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선호하는 공간. (사진 속 루바는 옹이가 많이 보이는 유절 루바입니다.)
  • 무절 (無節) 루바:
    • 특징: 옹이가 없는 루바입니다. 옹이가 없거나, 아주 미세한 점 형태의 옹이만 있는 최고급 등급의 루바를 의미합니다.
    • 장점: 깨끗하고 균일한 나뭇결을 가지고 있어 깔끔하고 모던한 느낌을 줍니다. 옹이로 인한 하자가 발생할 염려가 적습니다.
    • 단점: 유절 루바에 비해 가격이 비쌉니다.
    • 적합한 곳: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미니멀리즘 디자인, 깔끔한 마감을 중요시하는 공간.

3. 시공 방법 (콘센트 자리, 마지막 루바 재단, 걸레받이, 문선, 창선 마무리 등)

 

편백나무 루바 시공은 정확한 측정과 섬세한 마감 기술이 중요합니다.

  • 벽면 준비: 루바는 일반적으로 합판이나 석고보드 위에 시공합니다. 벽면이 평탄한지 확인하고, 필요시 샌딩 또는 하지 작업(다루끼 등으로 틀을 짜는 작업)을 통해 평탄화합니다. 습기가 많은 벽면은 방수 처리나 건조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 초벌 루바 고정: 벽 하단부터 시작하여 첫 번째 루바를 수평에 맞춰 정확하게 고정합니다. 타카(630, F-30 또는 T-50 등 루바 두께에 맞는 타카핀 사용)나 실리콘, 또는 전용 클립을 사용하여 고정합니다. (클립 방식은 타카 자국이 남지 않아 깔끔하지만, 시공 시간과 비용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연속 시공: 암수 홈이 있는 루바를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연속해서 시공합니다. 이때 루바가 들뜨지 않도록 타카나 클립으로 고정합니다.
  • 콘센트 및 스위치 자리 따내기
    • 가장 까다로운 작업 중 하나입니다. 루바를 시공하기 전에 콘센트 및 스위치 박스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고, 해당 루바에 표시한 후 "직쏘(Jigsaw)"나 손톱(수동톱)으로 따냅니다.
    • 이때 루바가 깨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작업하며, 따낸 구멍이 콘센트 커버로 가려질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따냅니다.
    • 정확한 측정이 중요하며, 실수 시 재료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항상 여유분을 두고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마지막 루바 재단
    • 벽의 상단 또는 끝 부분에 도달했을 때, 마지막 루바는 남은 공간의 폭에 맞춰 정확하게 재단해야 합니다.
    • "테이블 쏘(Table Saw)"나 원형 톱을 사용하여 원하는 폭으로 잘라냅니다. 이때 잘라낸 단면이 벽면에 닿도록 시공하면 깔끔하게 마무리됩니다.
    • 상단은 도배 마감 시 도배지가 루바 위로 살짝 덮이게 하거나, 별도의 마감재(몰딩 등)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걸레받이, 문선, 창선 마무리:
    • 걸레받이: 루바 시공 후 바닥과 벽이 만나는 부분에 걸레받이를 시공하여 마감합니다. 루바와 걸레받이의 색상 및 디자인 조화도 중요합니다.
    • 문선(문틀 마감): 문이 있는 벽면에 루바를 시공할 경우, 문틀에 맞춰 루바를 재단하고, 문선 몰딩으로 깔끔하게 마무리합니다. 문선과 루바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창선(창틀 마감): 창문 주변에도 마찬가지로 창틀에 맞춰 루바를 재단하고, 창선 몰딩이나 코너 비드 등을 사용하여 마감합니다. 특히 창문과 루바 사이의 틈새를 실리콘 등으로 메워 깔끔함을 더합니다.

4. 보수 방법

  • 부분 손상: 작은 긁힘이나 찍힘은 고운 사포로 해당 부위를 살짝 갈아내거나, 목재용 필러로 메꾼 후 유사한 색상의 오일이나 바니시로 마감할 수 있습니다.
  • 부분 교체: 심하게 손상된 루바는 해당 루바만 제거하고 새 루바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이때 주변 루바의 손상에 주의하며, 얇고 뾰족한 도구를 사용하여 손상된 루바를 들어 올린 후 교체합니다.
  • 타카핀 제거: 타카핀이 튀어나온 경우 펜치 등으로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구멍은 목재용 퍼티로 메웁니다.
  • 벌어짐: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루바 사이에 틈이 벌어졌다면, 습도 관리를 통해 일부 개선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해당 루바를 제거하고 다시 시공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5. 유지 관리 방법

  • 습도 관리: 편백나무는 습기에 민감하므로 실내 적정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건조하면 갈라지거나 뒤틀릴 수 있고, 너무 습하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습기나 제습기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 오염 방지: 오염물질이 묻으면 즉시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냅니다. 물걸레 사용은 자제하고, 마른 천으로 닦는 것을 권장합니다. 심한 오염은 목재용 세정제를 사용하되, 얼룩이 남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주기적인 환기: 편백나무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 효과를 극대화하고,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직사광선 피하기: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변색이나 갈라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활용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변색 예방법

편백나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황갈색으로 변색(에이징)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변색을 늦추거나 다른 색상으로 유지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오일 스테인 또는 투명 바니시 마감:
    • 루바 시공 전이나 후에 목재 전용 오일 스테인(투명 또는 원하는 색상)이나 투명 바니시(수성 또는 유성)로 표면을 코팅합니다.
    • 장점: 목재 표면을 보호하고 습기 및 오염에 강해지며, 자외선으로 인한 변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원하는 색조를 입힐 수도 있습니다.
    • 단점: 표면이 코팅되면서 편백나무 특유의 은은한 향(피톤치드) 발산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무도장 상태의 편백 향을 선호한다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자외선 차단: 앞서 언급했듯이 직사광선은 변색의 주요 원인입니다. 창가에 시공된 루바의 경우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직사광선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변색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백색 오일 또는 워싱 작업: 편백나무의 노란색 변색을 싫어하고 밝은 톤을 유지하고 싶다면, 백색 오일이나 워싱(워터본) 작업을 통해 목재의 색감을 밝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문적인 시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편백나무 루바는 시공 후에도 적절한 유지 관리가 동반되어야 그 아름다움과 기능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