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df4

MDF,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규격과 마감 자재 비교 총정리 "MDF 고르기, 이 글 하나면 끝!” 내 공간에 꼭 맞는 MDF를 선택하는 법 – 자재별 특징과 쓰임새까지 쉽게 이해해요. 인테리어를 고민할 때, 눈에 띄는 디자인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자재 선택입니다. 특히 가구나 벽면, 몰딩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MDF는 인테리어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숨은 주역이기도 하죠. 하지만 MDF는 규격부터 마감 방식, 적용 자재까지 매우 다양해서 처음 접하는 분들은 어떤 것을 골라야 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이글에서는 MDF의 기본 규격과 다양한 마감 자재 종류 및 특성을 비교 정리하며, 내 공간에 맞는 선택을 하고 싶은 분들께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MDF 주요 규격 항목내 용두께3mm, 4.5mm, 6mm, 9mm, 12mm, 15mm, 18mm.. 2025. 8. 12.
이것에 약한 건축 자재들 정리 ✨ 서론 (Introduction)“어느 날, 창고 뒤편에 방치된 MDF를 바라보다가 문득 떠올랐어요. 우리가 자재를 고를 때, 단순히 ‘모양’만 보지 않았던가요? 비와 햇빛에 손상된 판자 한 장이 말해주는 자재의 본질. 오늘은 그런 자재들이 어떤 환경에서 살아남고, 또 어떤 상황에서는 조심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 실내 인테리어의 필수 상식: 환경에 민감한 건축 자재들 1. MDF란 무엇인가요?중밀도 섬유판으로 목재를 가공한 인공 자재표면이 매끄러워 다양한 마감재와 잘 어울림실내 가구나 마감재에 널리 사용되는 자재2. MDF의 장점과 단점✅ 장점가공성이 뛰어나고 경제적표면 균일성과 디자인 자유도가 높음❌ 단점습기에 약해 실외 사용 불가장시간 햇빛이나 비에 노출되면 휘고 갈라짐3. 직접.. 2025. 8. 11.
[용어] 중밀도 섬유판, MDF 현장 용어에 대해Medium Density Fiber board의 앞글자를 따서 MDF라고 하며, 중밀도 섬유판이라고 합니다. KS규격으로 단위 부피당 질량, 즉 밀도가 이 0.35 g/㎤ ~ 0.85 g/㎤ 이어야 합니다. 0.35 g/㎤ 미만이면 연질섬유판, 0.85 g/㎤ 이상이면 경질섬유판이라고 합니다. 원목 조각을 화학 가공하여 뽑아진 섬유질을 접착제를 섞어 압력을 가해 만든 제품입니다.  특징가공성이 좋아 가구재로 많이 쓰입니다. 비닐, 무늬목 등을 씌워 사용합니다.섬유질로 이루어져 물에 약합니다.방향성이 적어 수축, 팽윤율이 적도 강도차이가 10% 이내입니다.동일한 재질의 재료로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곡면 형태의 모양으로 가공하기가 쉽습니다.도장 효과가 우수합니다.두께가 3 ~ 30 ㎜로 .. 2024. 5. 8.
[용어] 고밀도 섬유판, HDF 현장 용어에 대해영어로 High Density Fiber board라고 하며, 앞 글자를 따서 HDF라고 합니다. 목재를 고운 가루에 접착제를 섞어 고온 고압으로 눌러낸 목재입니다. MDF보다 밀도가 높아 바닥재, 힘받이용 목공 재료로도 사용됩니다. MDF 제조 공정에서 예압과 열압공정 이후 규격에 맞게 재단을 합니다. 예압에서는 초기 두께의 1/2 ~ 1/3 정도 압축을 합니다. 고온 고압의 열압과정은 접착제를 경화시켜 보드를 형성합니다. 8 % ~ 10 %의 최적 함수율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HDF는 MDF보다 더 강한 압력으로 눌러 생산한 제품으로 밀도도 더 높습니다. MDF의 생성 압력은  300 ~ 600 kg/㎡이고, HDF는 900 kg/㎡이상입니다. HDF는 높은 압력으로 .. 2024. 5. 7.